Tuesday, January 14, 2014

불교사 연표

===================


-----------------------








불교사 연표 

B.C.3000-B.C.500 인도사


B.C. (기원 전)
3000




2000




1500




1000




800




700




600








*인도철학의 네 고전 : 베다, 우파니샤드, 바가바드기타, 니까야(아함경)

*인도철학의 전통은 실제적으로 <베다>와 6파철학, 자이나교, 그리고 불교로 본다.
이들의 공통된 사상으로 괴로움, 무상함, 업, 윤회, 해탈, 영원한 실재(브라흐만) 등이다.

*인도철학의 특징 
1. 정신세계 강조
2. 실천적, 정신적 삶 중시
3. 자아에 대한 앎을 중시

*엣날부터 인도인들이 생각한 구원은 하늘천국에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영생해탈이었다.

인더스문명이 시작됨
(인더스강, 갠지스강 : 힌두스탄 평원)

인더스문명 몰락
약 B.C.1700-B.C.1500
아리아족이 인도에 침입
(드라비다족을 지배. 4성계급의 원인)

리그베다시대 (다신교)
약 B.C.1000
(천지, 자연, 신, 태양, 불, 창조 등 찬미한 시)
*베다는 바라문교의 성전.
리그베다, 아쥬르베다, 사마베다 등이 집성 됨(찬가, 제사). 만트라(제사문구) 모음 
*<아타르바베다>주문을 모음, 대중성이 나타남.
*<브라흐마나> 제사의식
*초기의 古우파니샤드 성립
(궁극적인 실재로의 통찰을 내용으로 베다의 객관세계에서 우파니샤드의 주관적 내면의 아타만을 브라흐만(창조신)으로 자각함.

후기 베다시대
약 B.C.1000-B.C.600
도시의 성립. 무역이 이루어짐. 자유사상가(사문)의 배출 


B.C.4000-B.C.400 세계사


B.C. 4400년 경
이집트에 통일국가 이룩


B.C. 3100년 경
중국 한족 황하문명 발생
에게문명의 발생


B.C. 2600
중국 황제 황하에 정주
B.C. 2500
바빌로니아 십진법과 1년 365일 정함. 
B.C. 2205
중국 우왕이 하나라 건국
B.C. 1900
페니키아인 알파벳 사용
B.C. 1766
중국 상(商)나라

*아리아인의 남하로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문명에 큰 변화 줌. 

B.C. 1401
중국 은나라 건국

*그리스 문명의 발생

B.C. 1122
중국 은이 망하고 무왕이 주나라 건국 
(서주시대 B.C.1122~B.C.770)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오딧세이󰡕 저술

B.C. 776-775.
제 1회 올림피아 경기 열림 

                   *중국 춘추시대 (B.C.722-B.C.484)
                   *조로아스터교의 성립

B.C. 753
로마시 건설
B.C. 546
페르시아 왕국의 키루스 대왕이 이집트에서 인도에 이르는 거대 제국 건설.
B.C. 6세기 경
탈레스 “만물의 근원은 물이다”
피타고라스 “만물의 근원은 수(數)이다.”
B.C. 540-480?
헤라클레이토스 “만물은 유전한다”
B.C. 551-479
공자 (仁과 禮를 강조)




B.C.500-B.C.400 불교사


B.C. 566-B.C. 486
석가모니가 불교창시 <사성제(四聖蹄)ㆍ연기법(緣起法)ㆍ십선(十善)>
석가세존의 고행기간 6년, 성도 나이 35세(30세), 열반 80세.
*열반 시기에 대하여 ①설일체유부 전승 383년
   ②남방불교 전승 544년
                    ③분별설부 전승 485년

[제일가는 제자들] : 지자(智者) 곤다냐다, 지혜로 사리풋타, 부사의 힘으로 마하목갈라나, 청빈에 마하캇사파, 세속 초월한 눈의 아누룻다, 사자후로 바라드바자, 설교로 만타니풋타, 상세한 해설로 마하카차야나, 평화로운 마음에 머무는 수부티, 배우기 좋아하는 라훌라, 시인 방기사, 여러 천인들이 좋아하는 밧차, 기억력으로 아난다, 승단규율로 우팔리다, 여자수행자의 인도는 난다카, 육근 단속에 난다, 제자들 교도로 마하캇피나, 문제를 내세움에 라다, 설법이 정성스런자로 쿠마라, 신심에 밧칼리, 부지런히 노력하기로 소나콜리비사, 마음의 평안에는 레바타.

ㆍ데바닷타의 반역 (제자이며 혈육)
ㆍ석가족의 멸망 (코살라국의 왕 비두다바의 침략)
ㆍ석가모니불은 코살라국 싸밧티의 기원정사에 19년 머뭄. 
  (총 24년간 사밧티에 머뭄) 
B.C. 486
불멸 후 그 해에 제 1차 결집. (불멸후 2개월 후에 7개월 간 합송)
아함경(니까야)의 원형인 9분교(12분교) 성립 추정.(구송전승)
제 1차 결집장소 :라자가하의 칠엽굴.(마하가섭존자가 주도함)



남전 빨리어 니까야
북방 산스크리트어 아함경 
상좌부 전승
장부Digha-nikāya 34경
    (디가 니까야)
중부Majjhima-nikāya 152경
    (맛지마 니까야)
상응부Samyutta-nikāya 2875경
      (쌍윳다 니까야)
증지부Anguttara-nikāya 2198경
      (앙꿋따라 니까야)
소부Khuddaka-nikāya 15경
    (따카 니까야)

남전 대장경 -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전승
설일체유부 전승
장아함경 22권 30경

중아함경 60권 221경

잡아함경 50권 1362경

증일아함경 51권 471경




북전 아함경 - 티벳, 중국 전승 


B.C.500-B.C.400 세계사



B.C.540-B.C.468
마하비라가 자이나교 창시. (고행, 도덕, 해탈, 무신론)
사문(沙門) 육사외도(六師外道)-바라문교에 반대하는 자유사상가들.
(붓다도 사문류에 듬)          62견해 
B.C.722-B.C.484
중국의 춘추시대. 
제자백가 등장 
노자(B.C.604?-B.C.513) 무위자연의 도
B.C.545
마가다 왕국이 일어남
B.C.543-B.C.491
빔비사라 왕이 마가다왕국의 세력확장
B.C.460?-B.C.370?
데모크리토스 ‘만물의 근원은 원자(atom:아톰)이다’
B.C.469-B.C.399
소크라테스 ‘너 자신을 알라’ 무지(無知)의 지(智)
B.C.427?-B.C.347
플라톤 ‘철인정치’, ‘영혼이 참 실재(idea:이데아)를 알아야 한다.’
B.C.413
인도 코살라국의 사밧티(쉬라바스티: 사위성)
마가다 왕국 멸망하고 사수나가家의 지배 (~362) 
















【불맥전통】
 설일체유부의 <아육왕경>, 근본설일체유부의 <아육왕전>
과거의 부처님이 여섯분이고 석가모니불은 그 일곱 번째이다.<육조단경>
석가모니불(교조)-마하가섭(제1조)-아난(제2조)-상나화수(제3조)-우바국다(제4조)
-제다가(제5조)-미차가(제6조)-바수일(제7조)-불타난제(제8조)-복타밀다(제9조)
-바율습박(협존자, 제10조)-부나야사(제11조)-아나보리(마명, 제12조)-가비마라(제13조)
-나알라수나(나가르주나:용수, 제14조)-가나제바(제15조)-나후라타(제16조)
-승가난타(제17조)-가야사다(제18조)-구마라다(제19조)-도야다(제20조)
-바수반두(세친, 제21조)-마나타(제22조)-학륵나(제23조)-사자보리(제24조)
-바사사다(제2조)-불여밀다(제26조)-반야다라(제27조)-보리달마(제28조, 중국 초조)
-혜가(중국2조)-승찬(3조)-도신(4조)-홍인(5조)-혜능(6조)


B.C.400-B.C.300 불교사



*불멸후 100년 경. 근본분열 일어남 (상좌부ㆍ대중부)-부파불교의 시작
*바이샬리 제 2차 결집 󰡔아함경󰡕, 󰡔율장󰡕이 성립. 
*불타입멸 116년(160년) 무렵에 파탈리푸트라의 대천(大天 Mahādeva)이 5관점에서 
 아라한을 부정하자, 정통장로들이 이에 반대하여 대천의 무리에게 배척받아 서북 인도로  
 쫓겨감으로 근본분열이 일어나게 되었다.
*근본아비달마논서(설일체유부의 논서) 七足論의 성립 시작.(기원전200~300년 사이에 성립)
<法蘊足論>(사리불), <施設足論>(목건련), <界身足論>(부르나), <?異門足論>(구치라), 
<識身足論>(제파설마), <品類足論>(세우)
 이후에 <發智論>(가다연니자), 2C에 <대비바사론> 집대성.
 5C 세친이 <구사론>저술로 종합정리함.

B.C 300- 
*아비달마논서의 저술이 이루어지기 시작.
*근본아비달마 유부 논장 성립 진행
*제부파의 분열 진행
*산치, 바르후트의 대탑과 그 조각 
*제 3차 결집 아육왕시대에 3장 성립. 실론섬으로 전파 됨(현 스리랑카).
 당시에 대략 10여 부파로 나뉨. 당시에 목갈리붓다, 우바국다 존자가 有
 아쇼카왕이 희랍 5국에 전도승 파견. 26년 동안 26회의 특사를 보냄. 불법을 융성케 함.
 날란다 사원을 세움(최초)
*남방상좌부 7논서 <法集論>, <分別論>, <論事>, <雙論>, <發趣論>, <人施設論>, <界論>
 또 논서 외로 <指道論>, <藏釋論>, <밀린다팡하>도 중시됨. 
 (AD5c 붓다고사가 <청정도론.저술로 정리함. 이 이후로 5경에 새건타마의 <업아비달마론>(유부종) 지음.)




【기원전후(불멸400년후)의 제 부파 분열 상황】- 교법해석차이
1. 상좌부(Theravāda) - 근본상좌부(설산부), 설일체유부, 독자부, 화지부, 경량부,
                        정량부, 법장부, 음광부, 법상부, 현주부, 밀림산부

2. 대중부(Mahāsamyhika) - 일설부, 설출세부, 계윤부, 다문부, 설가부, 제다산부,
                           서산주부, 북산주부.
→불교사서인 남전의 도왕통사와 북전의 이부종륜론에 나오는 모든 부파를 열거 함. 
  (공통으로 나온 부파는 15종)

A.D.7c 전후의 상좌부는 상좌부, 설일체유부, 정량부, 대승상좌부, 경량부 등이 주류.


B.C.400-B.C.200 세계사



B.C.387
플라톤, 학원 개설 
B.C.403-B.C.221
중국의 전국시대
인도의 <바가바드 기타>의 성립 추정이 B.C500-B.C200년 사이로 봄. 
비브라만교의 일파인 바가바타파의 경전이었다가 브라만교에 편승. 뜻은 ‘지존(세존)의 노래’로 철학적·종교적인 시
B.C.390-B.C.305
맹자(성선설性善說)
B.C.340-B.C.205
순자(성악설性惡說)
B.C.390-B.C.321
난다왕조
B.C.326-B.C.325
알렉산더 대왕의 인도 침입
B.C.365-B.C.290
장자(물아일체物我一體·물아양망物我兩忘)
B.C.320
찬드라굽타가 마우리아 제국을 세움
B.C.285
그리스 태양력 사용
B.C.269-B.C.233
아쇼카대왕이 통치(아육, Aśoka)
B.C.256
불교사절단이 아시아 및 헬레니즘 세계에 파견 (지중해 연안)
간다라, 케시미르, 세일론 등 전도사 파견 
B.C.251
마헨드라의 불교사절단이 스리랑카의 티싸왕에게 파견
B.C.248
파르티아와 박트리아가 독립함
B.C.221-B.C.202
중국의 진나라 분서갱유(焚書坑儒)


B.C.200-AD100 불교사



Menandros(밀린다) 불교신앙
B.C.150
Katyayaniputra(가다연니자)의 <아비달마 발지론發智論>
설일체유부 성립
B.C.100
부파불교의 분열이 거의 끝남(18-20부)
세일론(스리랑카) 대사파 승려들이 빠알리 3장 서사함.
(역사적 최초의 서사임-당시 스리랑카의 언어로/싱할리어)
B.C.
0
A.D.
ㆍ대승불교의 기원(대중부와 같은 진보성향의 부파에서, 불탑신앙이나 불전문학으로부터 발전하였을 것으로 추측함.)
ㆍ대승불교운동 발생. <반야경>의 원형 성립
ㆍ아비달마불교를 비판하면서 대승사상이 출현(반야경:제법부정)
ㆍ대승불교가 사상적으로 성숙해 가고 있던 서기 전 1세기에서 3세기까지의 사이에 수많은 대승경전들이 나타남.
【초기 대승경전의 주요한 것들】
<반야경>,<유마경>,<법화경>,<아미타경>. 화엄경의 원시경전인<십지경>,<반주삼매경>,<수능엄삼매경>,<무량수경>등
-1C말 
원시 대승의 성립 
67
불교의 중국 전래. 동한때 채음이 서역에 갔다가 고승 축법란, 섭마 등을 대동하고 경전을 싣고 돌아옴. (기원전 2세기 때 장건의 서역 개통 때의 설도 있음.)


B.C.200-A.D.100 세계사



B.C.202-A.D.220
중국 한나라. 과거 제도 시행
B.C.185
마우리아 왕조 군사령관 푸쉬야미트라의 하극상에 의해 멸망.
B.C.185-B.C.173
숭가왕조
B.C.165년 경
유치족이 흉노족에게 패하여 서쪽으로 이동
B.C.135
중국 도가 실천으로 황노정치
B.C.151
동중서와 유가 형성 (유교)
B.C.155-B.C.130
그리스계의 메난더(밀린다)왕이 인도 서북 지방을 다스림

기원 전 1세기~기원전 2 세기 경 가우타마가 <정리경正理經>저술.(논리철학)
B.C.97
중국 사마천 <사기>완성.
B.C.60
사따바하나(안드라)왕조가 일어남.(기원 후 250년 경 까지)
B.C.57
신라 건국
B.C.37
고구려 건국
B.C.18
백제 건국
B.C.30
로마 인도와 무역을 개시
B.C.26-B.C.20
인도의 사절단이 로마 제국의 아우구스투스 황제에게 파견 됨.
B.C.4-A.D.30
예수 
 :하늘복음ㆍ사랑ㆍ평등ㆍ도덕청결(구원 영생ㆍ회계ㆍ이웃 사랑)
12
중국 한(漢) 낙양을 동도(東都)로, 장안을 서도(西都)로 함. 
40년 경
까드피세스 1세가 쿠샨왕국 창건
38년 
성경 <마태복음서> 이룩
B.C.202-A.D.220
중국 한나라
55
바울 <고린도 전서 및 후서> 저술
48 
가락국 김수로왕 7년에 인도 아유타국의 장유화상이 옴
(지리산 칠불사의 기원)
73(120)-144년 경
카니슈카 대왕이 통치
카슈미르에서 종교회의를 개최하여 대승불교를 채택
대승불교의 포교단이 아시아 여러나라에 파견.
1C 경 
남인도와 로마제국 사이에 활발한 무역활동이 진행 됨.
인도의 사절단이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파견. 


A.D.100-A.D.300 불교사



A.D.100~
ㆍ간다라, 마투라에서 불상조각이 시작 됨(북인도)
ㆍ아비달마 연구의 전개 <대비바사론>,<발지론>을 해석. 설일체유부의 성전.
ㆍ불교시인의 활약 Aśvagosa(마명) <붓다차리타:불소행찬>, <금강침론> 저술.
ㆍ<대비바사론>은 협존자와 세우존자가 카니쉬카왕 때 캐시미르 지방에서 저술. 후대의 학자들은 제 4차 결집으로 봄.
ㆍ마명의 <대장엄론경> *마명이란 사람은 역사에서 5명 정도로 알려짐.
ㆍ중국에 유마경(187년) 전해짐.
ㆍ<소품반야경> 성립.(100~125년 무렵) 
ㆍ카니시카사(寺) 건립
ㆍ마트리체타(Mātrceta) <사백찬四百讚>, <백오십찬百五十讚>
ㆍ중국의 안세고(안식국인)가 들어와(147년 낙양) 상좌부 경론 등 번역. 147-170 사이에 경론 95부 115권 번역.
A.D. 200~
【반야사상 이론적 연구 개시】
ㆍ용수존자(150-250) : 제 2의 석가, 8종(宗)의 조사, 중관학파의 개조. <중론>,<회쟁론>,<광파론><십주비바사론>,<십이문론>,<대지도론> 등. 
ㆍ아리야제바 <백론>
ㆍ대승불전문학 시작됨 (찬불승의 모임, <본생경>)

ㆍ중인도인 담가가라가 중국 낙양에 옴.
ㆍ중국의 지겸(월지국인)이 대승경전 번역. <유마힐경>,<대명도무극경>,<대아미타경>,<서응본기경> 등. 오나라 손권의 환대 받음. 
ㆍ중국에 불도징(232-348, 서역 구자국인)이 낙양에 옴. 당시의 왕 석륵이 귀의 함. 석호왕 때 화북지방을 교화. 계율과 학덕을 갖춘 신승. 
ㆍ축법호 장안에 와서 <정법화경正法華經> 등 약 150부 번역. 
ㆍ중국에서 노장사상을 빌려 격의불교(格義佛敎)가 발생함. 모자(牟子) <이혹론理惑論>. 


A.D.100-A.D.300 세계사



1C-3C경 
간다라 미술이 발달 (130년 경 간다라 미술 융성)
105
중국의 채륜이 종이 발명
107 
제 3차 기독교 박해 
118
제 4차 기독교 박해
130-150
Kaniska왕 재위
152
로마 안토니누스 기독교 박해 중지
166
로마 안토니누스의 사절단 중국에 이름 
167
역병이 세계적으로 유행
180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자성록> 간행.
178-189
중국에 지루가참(대월지인)이 들어와 대승경전 역출.
<도행반야경>,<반주삼매경>,<아축불국경> 등
202
로마 제 5차 기독교 박해 
3C 중엽
쿠샨 왕조가 멸망 상태에 이름.
사싼족 이민족의 침입이 빈번함. 
285
제 6차 기독교 박해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대. (222-589) 200년 후한이 망함. 3국시대. 
촉한의 제갈공명(181-234), 서진(西晋)(265-316), 동진(東晋)(317-420).

*기원후부터 대승불교가 흥기하면서 북인도, 중앙아시아, 중국, 고구려, 백제 등으로 미륵신앙이 크게 유행함. (미륵신앙 : 말법시대에 미륵신앙으로 염원하여 도솔천에 왕생하고 미륵불이 하생하여 교화할 때 함께 하생하여 성불한다는 사상)
274
페르시아 마니교 창도
297 
중국 <삼국지>의 저자 진수 죽음. 


A.D.300-A.D.400 불교사



ㆍ유식사상과 여래장사상 발생
ㆍ중기 대승경전 출현(300-600년)
  :<화엄경>, <승만경>, <대반열반경>-여래장계열
   <해심밀경>, <능가경>(해심밀경보다 조금 늦게 출현. 세친 이후)-유식계열
   <능엄경>-능엄경은 선가(禪家)의 요문(要門)에 밀교사상, 수증체계 등이 종합됨.
   *능가경은 반야ㆍ법화ㆍ화엄ㆍ열반ㆍ승만ㆍ해심밀경 사상을 융합함. 
   Haribhadra(하리발마訶利跋摩, 250-350?) <성실론> 저술 .

ㆍ서역승 Kumarajiva(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 중국 장안에 와서(401) 많은 경전을 한역. 또한 삼론종(중관학)의 개조가 됨.
ㆍ중국에 서역승 불도징(?-348) 낙양에서 불교를 크게 일으킴.

372
고구려, 소수림왕 때 불교 전래.(순도, 아도 화상에 의해서)
384
백제 불교 전래.(마라난타 인도승)

[인도불교]
미륵(Maitreya, 270-350) <유가사지론>,<대승장엄경론>,<중변분별론>-유식학파의 개조
무착(Asanga 310-390) <섭대승론>,<순중론>-섭대승론은 대승공관에 기초하여 유식사상을 정립한 대승교학의 개설서.

[중국불교]
도안(312-385) 초기 중국불교의 기반 구축. <종리중경목록> 편찬, <방광반야경> 강의, 상좌부 논서 함께 번역, <아비담서><비바사서><증일아함경서>등 찬술. 미륵신앙을 가짐.
도안의 활동시대는 5호 16국 시대로 황폐한 시기였음. 
여산혜원(도안의 제자) <사문불경왕자론>, 백련사 염불결사(390년)
도생(355-434) 구마라집의 제자. <열반경> 번역강의, <법화경소><주유마경><대반열반경집해><돈오성불론>등 저술. 불성당유설을 강조.
승조(384-414) <유마경주><조론(반야무지론)><보장론>, 대승반야사상과 보살사상에 기반. 구마라집의 제자. 



【중기대승불교의 논장】
1. 유가행파계-<유가사지론><섭대승론><대승장엄경론><유식이십론><유식삼십송>
              <성유식론> 등. 
2. 여래장ㆍ불성계-<불성론><보성론>
3. 이 양자를 종합한 <대승기신론>


A.D.300~ 불교사



313
로마, 크리스트교 공인
320
찬드라굽타 1세가 굽타 왕조를 일으킴.
굽타왕조의 힌두교 지원으로 사원과 세력이 크게 늘어나고 불교 교단이 위축됨. 힌두교의 팽창은 대승불교를 밀교화하여 경전에서 주문ㆍ다라니가 크게 증가함. 중생구제를 위한 염원에 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불ㆍ보살이 등장
323
로마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 로마제국 통일(-337)
325
Nikaia 종교회의(니케아 기독교 회의)
366
둔황 천불동 축조 시작. 
*300~
인도 6파 철학의 흥기와 불교의 학문적 철학화 체계 구축(대승사상과 아비달마 논서).. 



【인도불교 (서역/중앙아시아)】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다른 종교나 철학을 누르고 융성했다. 실제로는 민중의 정신적 상부 구조에만 영향을 미쳤을 뿐, 풍습이나 습관, 계급제도와 같은 하부구조에까지는 미치지 못하여서 사회 전반을 변화시킬 수 없었으며, 또한 그것을 목적으로 하지도 않았다. 힌두교적 하부구조인 사회 조직은 그대로 정체되어 있었다. 이것이 불교가 인도 땅에서 뿌리를 내리지 못한 이유인 것이다. 더욱이 정통 민족 종교인 힌두교가 다시 일어나(4C-5C경) 민간신앙과 불교의 정신을 흡수하며 세력을 넓혀갔다. 이에 반해 불교는 학문 교리에 전진하면서 신앙 실천에서 뒤떨어지기 시작했다.


A.D.400~ 불교사



ㆍ붓다고사Buddhaghosa(불음, 400-450), 실론 상좌부 삼장을 주석하고, 남방상좌부 7론을 하나의 완성체계로 <청정도론> 저술. 싱할리어로 된 삼장을 빠알리어로 번역함. 
ㆍ유식사상 체계화 진행 (연대 추정 불확실)
Maitreya(미륵)에 귀속되는 <유가사지론><대승장엄경론><중변분별론><현관정엄론>등이 저술됨. (이론異論이 있음.)
Asanga(무착, 390-480) <섭대승론><현양성교론><대승아비달마집론><순중론>
ㆍ인도에 나란다 승원 건립 (승가대학)
ㆍ바수반두(세친世親, 400-480) <구사론>(설일체유부ㆍ경량부의 사상에 입각, 비판)<대승성업론><유식이십론><유식삼십송><왕생론>-세친은 처음에 경량부적 유부(상좌부 계열)에서 공부하고 대승 유식에 입문함. 
ㆍSanghabhdra(중현) <아비달마순정리론><아비달마장현종론>을 저술하여 세친에 반박. 

ㆍ중국 여산 혜원(~417) 백련결사 염불. <대지도론요략><법성론>
ㆍ담란(476-542) <왕생론주> 남북조시대에 북위지방에서 정토교를 전파. 선경(仙經)을 불태우고 정교에 귀의. 정토종의 시조.
ㆍ인도 불타발타라<화엄경><반니원경>등 대승경 번역 
ㆍ담무참(385-433)중인도인, 412년에 중국 고장에 와서 <열반경><금광명경>등을 번역. 

ㆍ중현(衆賢, Sanghabhadra) 5C후반 <아비달마순정리론><아비달마현종론>

ㆍ승랑(고구려) 5C후반에 중국에 가서 승조계통의 삼론학을 확립시킴. 
-고구려불교 : 삼론종, 열반종
-백제불교 : 삼론종, 계율종, 성실종
-신라불교 : (6C~9C)계율(남산), 자은(법상), 열반, 분황, 화엄, 선적, 총지ㆍ신인(밀교), 
            구사, 성실, 삼론, 지론, 천태, 정토종. (당의 불교를 수입)




A.D.400~ 세계사



405-411
중국의 구법승 법현이 인도를 여행.
414년 인도유학에서 돌아와 <법혀전>을 지음.
5C 경
인도, 요가학파의 경전 <요가수트라> 파탄잘 리가 저술. (필명 파니니) 6파철학의 하나이며 우파니샤드 철학시대 이후에 모든 종교에서 수용하여 공통 수행법이 됨. 물질감각을 초월한 영혼의 깨달음을 지향(二元論) 상키야 철학에 기초함. 요가경은 수세기에 걸쳐 쓰여짐. 
420
중국, 동진이 망하고 송(宋)이 일어남. (남북조시대)
444
남북조, 북위 태무제 때 말살 조치 내림. 
439-534
북위, 도교의 성립
5C 중반-8C경 
날란다 대학이 번영.
500년 경 
인도 힌두교 창시
594
<중경목록衆經目錄> 법경 등이 대소경론을 기록. 602, 663에도 다른 사람이 기록함.
597
<역대삼보기> 비방장 저술. 중국에서 번역된 경론을 기록.
574
북주 무제에 의한 폐불이 화북에 확산. 
581
수 문제가 불교 부흥에 힘씀. 불교, 유교를 부흥할 때 정영사를 지어 혜원에게 법회를 열게 함. 
587-594
천태지의의 천태대삼부(<법화문구><법화현의><마하지관>)지음. 
589
삼계교(三階敎)의 신행(信行)이 장안에 들어옴. (보불普佛, 보법普法을 주장.)



A.D.500~ 불교사



ㆍDignaga(陳那 480-540)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Prama
  nasamuccaya집량론>-유식학유상파
ㆍNanda(난타 500-550 무렵) <유가사지론>을 주석-유식학파

【중관학파의 분열】-귀류논증과 자립논증파(空에 대한 破的/立的 견해)
Buddhapalita(불호, 470-540) <중론주>-귀류논증파
Bhaviveka(청변 490-570) <반야등론>-자립논증파 
청변이 귀류논증파를 비판함으로써 중관 2파의 논쟁이 일어남. 

ㆍ달마 위진남북조 시대에 양나라에 옴.(?~520-536) <이입사행론>
ㆍ천태지의 (538-597) 천태종 개조. <법화현의>, 교관겸수의 체계. <법화경>,<대지도론>강의. (3제원융, 일념삼천) 수양제의 후원을 받음. 

【유식학파의 분열】- 유상(有相)유식과 무상(無相)유식파(識相의 有無에 대한 견해차)
Asvabhava(무성, 500-560), Dignaga(진나 480-540)-유상파
Sthiramati(안혜, 510-570)<유식삼십송석><대승중관석론>-무상파
Dharmapala(호법 530-561)<성유식론>-유상파
Paramartha(진제 499-569) 중국에서 유식, 여래장계 논서 64부 번역(546)-섭론종/무상파. 제 9식을 인정.
Silabhadra(계현, 529-645)-유상파 

ㆍ신라 이차돈 순교(527) 법흥왕 때 불교가 공인됨. 당대(唐代)에 성립하는 불교의 13개 종파를 수입, 발전시킴. 
ㆍ연기(인도인 ?-544) 신라에 화엄원교를 유포함.(지리산 화엄사)<화엄경요결><대승기신론주망>

ㆍ중국 517년 승우가 <출삼장기집><홍명집>을 지음. 율학의 고승인 법현에게 배움.
ㆍ보리유지(북인도인 ?-508) 중국에 옴. 세친의 제자. <십지경론><입능가경>,<법화경론><무량수경론> 등 번역. 지론종 개종. 
ㆍ혜원(~592) <대승의장><관무량수경소>, 혜교(519)<양고승전><범망경소>
ㆍ신행(~594)삼계교 창시. 대중성, 사회성이 강함. 무진장원에서 사회구호사업.
ㆍ길장(549-623) 수. 삼론종 집대성. <정명현론><삼론현의>
ㆍ혜광(~508~) 지론종의 기초. <십지론소><화엄경소><열반경소> 정업을 닦음. 
ㆍ중국(양) 무차대회. (양무제는 4회에 걸쳐 승속인에 공양함.) 
ㆍ승찬(?-606) <신심명> 
ㆍ574, 북주의 무제 불교 말살. 

ㆍ백제 겸익(인도유학, 백제 율종의 시조가 됨) <율소>편저. 























스바탄트리카파
(자립논증파)





















프라상기카파
(귀류논증파)
용수
제바
라후라파드라
청변(~570)
불호(~540)
청목
관서(~700)
슈리굽타
즈냐나가르바(~760)
적호(~790)
연화계(~796)
(카말라실라)
월칭(~650)
적천(~700)
수리야소마
승조ㆍ도생
길장(수)(~623)
해탈군
(Vimuktisena)
사자현(~800)
라트나카라샨티
(~1000)
지타리(~1000)
프라즈냐카라마티
(~1030)
아티샤(~1054)
쫑카파(~1419)
(티벳)
구마라집(~401)

【중관파 계보】- 삼론학


                             
*중국불교에서는 여러 경전들의 차이를 인식하고, 전체를 하나의 틀로 통합하려는 교상판석이 나오게 됨. 

【유가행파 계보】-유식학: 법상종(자은종), 지론종, 섭론종


지론종
섭론종
미륵(Maitreya,~430)
무착(~470)
세친(~480)
친승(親勝)
화변(火辨)
승군(勝軍)
덕혜(~490)
(Gunamti)
안혜(~570)
진나(~450)
무성(~500)
난타
호법(~561)
계현(~645)
법칭(~650)
승우
승자
지월
현장(법상종)
(유상파ㆍ신유식파)
자은규기
혜소
지주
의정(~671)
보리유지(유상파)
(Bodhiraci)
늑나마리(무상파)
(Ratnamati,~508)
원측(신라)
승장
담광
도증
태현
진제(~546)
(무상파ㆍ구유식파)



A.D.600~ 불교사



ㆍCandrakrt(월칭, 600-660) <지식론평석><논리학요론><입중론> 진나의 인식론, 논리학
  을 발전시키고 경량부와 유식파의 이론을 종합
  [경량유식파 성립]
  Dharmakirti(법칭, 600-680) <정리일적론><양평석>

ㆍ현장의 인도 여행(630-685)
ㆍ도신(580-651)<입도안심요방편법문> 
ㆍ중국(당唐) 무차대회 (618, 당고조)

ㆍ인도, Jnanaprabha(지광) 7C 중관자립파
ㆍ고구려 혜관 중국 구법(7C), 삼론종의 길장에게 수학, 일본 삼론종의 시조.
ㆍ당(唐)-영가 현각(647-713) <선종영가집><증도가>
        -도작(562-645) 담란의 정토사상 계승. <안락집>, 염불삼매
        -현장, 규기(법상종), 혜능 (남종선), 현수(화엄종)

ㆍ신라 자장(~658) 남산율종 계승. <아미타경소>  
       원효(618-686) 일심(一心), 화쟁(和諍), 무애(無碍) 사상. <대승기신론 소ㆍ별기>
                      <금강삼매경론><십문화쟁론>
       의상 <화엄일승법계도>
       원측 <해심밀경소><성유식론>

ㆍ당-현장(~664) 나란다 승원에서 설일체유부등의 부파와 반야경, 유식학 등을 배움. 
                <대반야경><성유식론>등 75부 1335권 번역. 
                <노자><대승기신론>을 범어로 번역해 전함. <서역기>에 의하면 
                대승 승려보다 상좌부 승려의 수가 월등히 많았음. 
    -도선(596-667) <사분율>의 집대성자. 율종, 대소율전을 회통시킴. 
    -지엄(602-668) <화엄경수현기> 저술
    -정중무상(680-762?) 선종인 정중종 始.
    -홍인(601-674) 선종 5대 조사. <최상승론(수심요론)>저술. 
    -의정(635-713) 675-685 사이에 인도 나란다 대학에서 공부하며 다수 범본 경론을
                    낙양에 들여 옴. 인토불교를 종합적으로 소개. 
    -혜능(638-713) 남종선 6대 조사. 반야사상에 입각한 돈오사상과 정혜일치론 등
                    <육조단경>에 담김. 후대 선종에 큰 영향. 
    -법장(643-712) 지엄의 법계연기사상 계승. <화엄탐현기><화엄오교장>
                    <화엄유심법계기> 등 저술. 
    -실차난타(652-710) 인도인. 낙양에 와 보리유지, 의정과 함께 <입능가경>
                        <화엄경> 번역. 

[밀교 경전 성립] <대일경><금강정경><소실지경>
Indrabhuti 좌도밀교 제창. 금강승의 비조(687-717) 인도인. 

ㆍ백제 혜현(573-630) 법화경 기도와 삼론강설. 보덕, 열반종의 개조.


A.D.600~ 세계사



610
이슬람교 창시



*7C초 낙양에 약 1300개의 사찰이 있었음. 
수 문제 재위 20년간 23만명의 승려와 불경 46장 13만권 서사, 400부 정리.
새로 나온 경론이 500여권.
618
당 건국(618-907) 
당태종은 현장법사를 후원, 측천무후는 신수대사, 명황은 금강지삼장, 숙종은 신회선사, 대종은 불공화상을 후원 함. 한 종파의 흥성이 정권의 지원에 있었음. 
630
630-643, 현장이 나란다 대학에서 공부하고 널리 인도를 여행
639
티벳의 스롱 첸 감포가 라사를 건설
641
하르샤왕이 중국에 사신을 보냄
643
당의 사신 왕현책이 하르샤 궁전에 도착함.
618
당 고조 무차대회 염.
626
도ㆍ불 논쟁








【당대의 13개 종파】
구사종(세친의 구사론 중시), 성실종(하리발마의 성실론 중시), 삼론종(삼론 중시), 섭론종(무착의 섭대승론), 열반종(열반경), 천태종(법화경), 삼계교(多經), 화엄종(화엄경), 법상종(성유식론), 밀교(대일경), 정토종(아미타경), 율종(율장), 지론종(십지경론), 선종(능가경, 금강경, 육조단경)


【화엄계보】


용수
(인도)
두순
(6C,중국)
지엄
현수법장
징관
종밀
의상(신라)
표훈
지통
진정
신림
순응
균여(고려)
탄허(한국)



A.D.700~ 불교사




ㆍ중관파 적천(寂天, Santideva, 650-750), <입보리행론><대승집보살학론>

【중관과 유식의 융합】-유가행중관파의 설립
ㆍSantaraksita(적호寂護, 725-788), <진리요론><중관장엄론>
  인도불교를 티벳에 전함. 나란다의 대학자. 
ㆍKamalasila(연화계, 740-795), 나란다승원 <타트바상그라주(진리강요주)>
  <수습차제(修習次第)
  *까말라실라와 중국 북종선승 마하연(대승화상)이 사무에에서 논쟁
   (792-794 혹은 780-782) “삼예사원의 대논쟁”. 인도불교 선택.
ㆍHaribhadra(사자현師子賢), <현관장엄론주(現觀莊嚴論註)>
ㆍPadmasambhava(연화생, 740-795) 비크라마실라사(밀교중심승원)의 
  파드마삼바바가 티베트로 가 라마교를 창시, 사무에사 건립(755).<사자의 서>


708, <능가사자기>-북종선의 정각이 초기 선종의 역사를 기록.

ㆍ신회(685-762), 혜능의 법을 이음.<단어><현종기>. 육조현창운동을 함. 
ㆍ중인도의 바라밀제가 당에서 능엄경을 처음으로 번역(705)
ㆍ북인도인 불공삼장이 당에서 능엄경번경(746), (금강지삼장이 스승)
ㆍ716, 인도의 나란다사의 선무외가 장안에 옴.
ㆍ720, 나란다사의 금강지와 불공이 장안에 옴.
ㆍ남종선의 하택신회계열에서 돈황본 <육조단경> 저술(790년 경)
ㆍ마조도일(709-788) 남종선 계승. 회양의 제자.
  마조-서당지장의 법을 이은 신라선승(도의, 홍철, 혜철)이 9산선문 개창. 
ㆍ대주혜해의 <돈오입도요문론>
ㆍ762, 하택신회 입적. 
ㆍ청량징관(738-839), 화엄 4조 <화엄경소><삼성원융관법><화엄심요법문>등 저술. 性起사상, 일심법계무진연기사상, 선교융합한 유심사상, <기신론>에 통달. 
ㆍ보적(651-739), 북종 신수의 제자로 화엄경에 통달. ‘화엄존자’ 별명. 


신라
ㆍ태현(8C), 유가종의 개조. 신라의 3대 저술가. 52부 백여권. 
  <성유식론고적기><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
ㆍ혜초(704-?), 당ㆍ인도 구법. 금강지ㆍ불공삼장의 제자. <왕오천축국전>



ㆍDharmottara(다르못따라(750-810) <정리일적논주(니야야빈두띠까)>
ㆍPrajnakaragupta 등이 다르마끼르티의 저작에 주석. 유식파.


티베트
티베트 불교는 8C에 인도의 소ㆍ대ㆍ금강승 등 전반을 수용함. 
특히 나란다 승원의 영향이 큼. 파드마와 샨타락시타



【후기대승불교】
 민중신앙으로의 실천으로 당시 유행하는 상징주의적 탄트라 문학을 도입하여 진언밀교가 탄생(三密사상) 동부 인도에서 신흥불교로 크게 유행. 그러나 이 밀교도 민간신앙과 융합하면서 타락하기 시작. 

【중국불교】
ㆍ중국불교는 경전을 기본으로 하고, 인도학파에 의존하지 않으며, 보살사상을 재해석, 단일한 수행체계 확립으로 종파불교를 이룸. 당나라 때 세계 문화의 개방과 왕실과 귀족사회의 후원으로 유행. 사회 질서 유지ㆍ통합의 역할을 함. 

ㆍ천태종ㆍ화엄종은 인론불교의 성격을, 정토종ㆍ선종은 실천불교의 성격을 띰. 

ㆍ중국선종의 기본경전은 능가경이고, 북종은 법상종(유식학), 우두종은 삼론종(반야경)의, 홍주종과 하택종은 화엄종(화엄경ㆍ원각경ㆍ기신론)의 영향을 받음. 


보리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
혜능(남종)
신수
지선
현색
의복
처적
정각
마하연
정중무상
(정중종)
청원
신회
남악
석두(석두종)
종밀(하택종)
도일(홍주종)
도일(돈황문서)
남전보원
백장
대주혜해
서당지장
마조도일
임제
황벽
조주종심
도의ㆍ홍철ㆍ혜철(신라)
우두법융(우두종)

【중국선종계보】




A.D.600~ 세계사




마하바리프람Mahabharpuram 해안사원 건립
723
723-727, 신라 혜초 스님이 인도 여행하고 장안에 돌아옴. 
736
델리Dhillika 시가 건설



중국의 시인 이백(李白, 701-762), 두보(杜甫, 712-770).
702
중국 자민혜일이 인도 18년간 여행하고 돌아옴
746
신라 설총, 강수가 구경(九經)을 처음으로 구결(口訣)로써 강론하고 후학을 지도.
788
통일신라 ‘독서출신과’ 과거제도 시행. 
788
788-820, 샹카라(Sankara)가 힌두교의 세력확장을 위해 활약함. 
베단타 학파 불이일원론.


A.D.700~ 불교사



티베트
경록 <덴가로마목록>편찬.
<문수사리근본의궤경><비밀집회탄트라>등의 밀교 경전이 완성 됨.
인도
중인도에 비크라마실라 사원 건립(마가다국 북방, 밀교중심 사원).
하리바드라<현관정엄론주>


중국
ㆍ규봉종밀(780-841), 화엄종 5대 조사. <원각경소><선원제전집도서>
  <원인론><기신론주>.
ㆍ임제(~867). 임제종. 동산양개(조동종)
*5종-임제, 조동, 운문, 위앙, 법안종
*7종-오종+양기, 황룡종 

ㆍ801, <보림전> 나옴
ㆍ814, <백장청규>의 편자 회해 입적. 
ㆍ845, 당무종 사찰 4600여곳과 암자 4만여곳 허뭄(회창법난)
  승려 26만명 환속, 절의 노비 15만명 해방 


신라
ㆍ김교각(803-794) “지장보살의 화신” 중국 구화산 지장도량 건립 
ㆍ진감혜소(선,범패)
ㆍ순지(위앙종), 범일(사굴산문), 무염(성주산문)
ㆍ선각도선(827-898), 선, 신승, 동리산문의 혜철 계승
ㆍ요오순지, 당의 위앙종 선맥 계승. <조당집>에 설법이 있음. <삼편성불론>
ㆍ최치원(857-?), <사륙집><계원필경>

*신라때의 불교를 오교구산(五敎九山)이라,
1) 오교 : 계율종(남산), 법산종(자은), 열반종(시흥), 법성종(분황), 
          원융종(화엄)-중앙귀족, 신라 중기, 전통권위 중시, 신라체제지지.
2) 구산선문 : 선적종(禪寂宗)-지방호족, 신라후기 민중 혁신적, 체제반대.

【한국불교의 특성】
1. 일승적(一乘的) 사상, 성속불이(聖俗不二).
2. 선교(禪敎) 융합. 선+화엄+정토
3. 수행중심.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의 대승보살도. 


【남종선과 오가칠종의 선풍】


제 6조 혜능
(남종선)
남악
청원
마조
석두
백장
황벽
위산
앙산
(위앙종)
임제
(임제종)
양기방회
(양기종)
황룡혜남
(황룡종)
대혜종고
(간화선, 12C)
동산
설봉
사한
조산
(조동종)
법안
(법안종)
*굉지정각
(묵조선, 12C)
*영명연수
(염불,선, 10C)
운문
(운문종)



【신라ㆍ고려 구산선문 계보】


위앙종
계승
달마
도신
홍인
혜능
남악회양
청원행사
마조도일
대통신수
보적
지공
신행
(신라,770)
법랑
(신라,650)
백장
남전
염관
약산
장경
마곡
석두
도응
서당
창주신감
도헌지선
홍척
도의
도윤
범일
현욱
무염
찬유
이엄
혜철
진감혜소
희양산문 경북 문경 봉암사
백장
위산
앙산
수미산문 황해 해주 광조사
우두산문 경기 여주 고달사
성주산문 충남 보령 성주사
봉림산문 경남 창원 봉림사
사굴산문 강원 명주 굴산사
사자산문 강원 영월 흥녕사
가지산문 전남 장흥 보림사
실상산문 전북 남원 실상사
동리산문 전남 곡성 태안사
쌍계산문 경남 화개 쌍계사
신라
고려초
고려초
신라
중국
요오순지(신라)
지겸(고려)



A.D.900~ 불교사



인도
ㆍ중관파의 Prajnakaramati(프라즈냐카라마티)가 <입보리행론> 주석
ㆍ전반적으로 밀교 융성. 경량유가파와 중관유가파도 융성함.
ㆍ경량유가파의 Jnanasrimitra(980-1030) <찰나멸론><유신론비판>등 많은 논저 
  저술. 니야야 학파 비판. 
ㆍRatnakirti(1000-1050) 즈냐나슈리미트라의 저작 해설
ㆍRatnakarasanti <팔천송반야경>의 주석인 <반야바라밀다론>을 저술, 중관유가파
  의 학설 전개
고려
ㆍ이엄(869-936) 조동종 선맥 계승. 수미산문 개창
ㆍ탄문(900-975) 화엄종
ㆍ현휘(879-941) 성주산문의 제 3조
중국
ㆍ법안종, 법안문익선사(885-958)의 선풍
ㆍ운문종, 운문문언선사(?-949)의 선풍(운문삼구)
ㆍ영명연수(904-975) 법안종 3조, 선정겸수(禪淨兼修). 제종(諸宗)융합.
  <종경록><만선동귀집><유심결> 등 
  *연수선사는 <대승기신론>에 입각함. 대승기신론은 능가경의 주석서임.
  고려 광종이 선사의 학덕을 사모, 유학승 36인이 법을 받아옴(968)
  중국에서는 점점 쇠퇴하고 고려에서는 크게 융성함.
ㆍ지례(960-1028) 천태종을 부흥, <수참요지><관음융심회>
고려
ㆍ고려 태조는 불교를 국교로 연등회, 팔관회 등의 연중행사와 승과제도 제정.
  승려의 신분을 귀족 이상으로 대우(숭불정책).
ㆍ균여(923-973) 화엄종<수현방제기><일승법계도원통기>
ㆍ체관(?-970) 중국 천태종을 중흥시킴 <천태사교의>
ㆍ지종(930-1018) 연수의 법을 얻음. 법안종


A.D.900~ 세계사



중국
5대 10국 시대(907-959) 운문종, 법안종이 형성됨.
송나라(960-1279)
955
후주 세종이 폐불령 내림
960
송 태조 즉위 불교 부흥
971
태조가 대장경판을 만들도록 함 
962년경
가즈니 왕국 건설.
970년대
화약과 나침반 발명(중국) 목판인쇄의 일반화
고려
고려 개국 (918-1392)











【천태종 계보】- 법화경이 소의경전


용수
혜문(북제)
혜사
천태지의(수)
체관(송)
전등(명)
지례
의천(고려)
원묘요세(고려중기)
상월원각(한국)



【정토종 계보】


용수(인도)
혜원(동진)
도작(당)
담란(남북조)
가재ㆍ선도ㆍ영명(송)ㆍ연지(주굉)(명)ㆍ철오(청)ㆍ인광(청)ㆍ원참(고려13C)…

*백련종 : 남송 초에 승려 모자원이 일으킨 정토종 계열의 일파 

【한국에 온 인도 승려】
장유호상(가야, 1C), 마라난타(백제, 4C), 연기(신라 6C), 지공(고려, 14C), 배달다(백제, 6C) 등


A.D.1000~ 불교사



인도
ㆍ비크라마실라사의 학장 Atisa(아티샤, 982-1055)가 티벳으로 이주.
  <보리도등론>등 많은 저술로 티베트불교를 부흥시킴. 구게왕국(10C-16C)
ㆍKalacakratantra(時輪乘) 성행.(칼라차크라탄트라-“영원한 시간의 수레바퀴”)
  밀교의 무상요가부의 불이(不二)탄트라.(지혜-父, 자비-母). 원만보신불의 
  교화구제.
ㆍ버마에 불교 전파(미얀마)
중국
ㆍ宋, 도원이 <경덕전등록> 지음.(1004)
ㆍ원오극근(1063-1135) 임제종. <벽암론>
ㆍ대혜종고(1089-1163) 원오극근의 제자. 임제선맥에서 간화선 주창.
  <서장><어록><정법안장>등의 자료
ㆍ계주(戒珠) <왕생전>저술
고려
ㆍ고려대장경(1011-1087) 초판고본대장경. 거란침입 계기.
  <대반야경><화엄경><금광명경><법화경> 총 6600권
ㆍ의천(1055-1101) <신편제종교장총록><선원사림><속장경>
  교관겸수(敎觀兼修), 중국의 천태종을 계승(선종의 한 파로)
ㆍ4개 이상의 종파에서 원효를 종조로 추앙. 
ㆍ1073, <거란대장경> 고려에 전해짐.
ㆍ신라때부터 내려오던 9산선문을 고려 때에 합친 종파가 조계종.
  조계는 육조혜능대사의 별호로 조계산에서 유래.
  고려 숙종 때(1095-1105) 의천이 선종의 한 파로 천태종을 개창하니,
  종래의 선적종(禪寂宗)은 조계종이라 개칭하여 선종에 두 종파가 생기게 됨.
  (五敎兩宗). 조선 초(세종 6년 1424) 억불정책에 의하여 오교양종은 
  선ㆍ교 양종으로 통합, 정리 됨.
ㆍ소현(1038-1096) 유식학 진흥. 자은규기가 펴낸 <법화현찬><유식술기> 등
  32부 353권을 교정, 개판하여 유통시킴.
ㆍ이자현(1061-1125) 거사불교, <능엄경>중시. <심요><선기어록> 저술


A.D.1000~ 세계사



11C초
무슬림의 10여차례인도 공격. 힌두사원 파괴.(11C~16C초 이슬람 침입.)
중국
ㆍ신유학의 시초.주돈이(1017-1073), 정명도(1032-1085), 정이천(1033-1170)
  성리학의 시조들. 
ㆍ왕안석의 개혁(1069)
ㆍ사마광<자치통감>
고려
ㆍ1089, 천태종의 중심사찰(국청사)
ㆍ무신의 난(1014-1273) 문신의 무인에 대한 차별로 발생.
ㆍ속장경은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에 의해 차례대로 인간(印刊)함. 
  총 101부 4740권


티벳 전통의 뵌교(몬교)
자연숭배사상ㆍ주술중시
인도의 대승불교와 밀교 전래
파드마삼바바, 샨타락시타(747)
라마교(닝마파)
아티샤(인도승,1050)
닝마파
(구파)
파드마삼바바 
창시
아디요가
학문을 중시(현교)
사카파 
(신파ㆍ반개혁파)
아난다 까르브하 
창시
헤바즈라탄트라
(1073)
닝마파의 갈래. 
현교를 더 중시. 
카큐파
(신파ㆍ반개혁파)
마르빠 창시
마하무드라
딜로빠
나로빠
마르빠
밀라래빠
카르마빠(15-16C)
최감트룽빠(20C)
(린포체전통)
카담파
(신파ㆍ개혁파)
돔톤파(僧)
겔룩파
쫑카파(僧)14-15C
중관학
달라이라마제도
14대 달라이라마
(20C) 계율중시
*닝마파와 카큐파에서는 승려에게 결혼을 허용함. 

【티벳불교】- 라마교(밀교계)




A.D.1100~ 불교사



1113
ㆍ현재의 캄보디아에 앙코르와트 건립
인도
ㆍAnuruddha(아누룻다) <아비달마교의강요>로 남방상좌부 사상 집대성.
  <설아비달마의론>
ㆍMoksakaragupta(1050-1200)사이에 <Tarkabhasa>를 저술
남송
ㆍ계환 <모법연화경요해><수능엄경요해>
ㆍ곽암지원<십우도송>
ㆍ굉지정각 <묵조명> 묵조선(조동종)

ㆍ1120, <임제록> 재간행
ㆍ1128, <벽암록>완성, 임제종의 원오극근 선사
ㆍ1132, 호주사계(湖州思溪) 대장경 간행
고려
ㆍ불일보조(~1210) <간화결의론> 사굴산문. 조계종선풍을 진작. 
  정혜결사를 통해 선의 종지를 선양. <정혜결사문><진심직설>
  정혜쌍수, 돈오점수, 교선일치 (수선사결사)
ㆍ진각혜심(1178-1234) 지눌의 법을 계승 발전, 간화일문 강조.
  정혜쌍수가 간화일문에 포함된다고 함.<선문염송집>
ㆍ12C 말 분황종(법성종) 개창. (원효종)
ㆍ원묘요세(1163-1245) 고려중기, 천태종 중흥, 백련사 결사







【사굴산문 계보】

  
범일
신종ㆍ주선
낭원
명언ㆍ총정
희소
광지ㆍ탄연
혜심
지눌
남공




A.D.1100~ 세계사



1145
고려 김부식 <삼국사기> 편찬
1192
인도에 무슬림지배 시작
1115~
북조(北朝) 금(金) (1115-1234)
1127~
남조(南朝) 송(宋) (1127-1279)
1130
성리학 주희 (1130-1200) 性卽理
1139
양명학 육구연 (1139-1192) 心卽理


1170
영국 옥스퍼드 대학 설립


1191
제 1차 타라인전투
1192
무하마드 구르가 타라인전투에서 힌두연합군을 물리침 
1192~
인도에 무슬림 지배가 시작됨(1192-1193)



앙코르와트 70만 거주.
캄보디아 바이본 사원 건축.
힌두교와 불교가 공존.

크메르 제국 자야마로만7세 불교 신앙


A.D.1200~ 불교사



인도
ㆍ1203, 비크라마 쉴라사, 날란다 사원 등이 이슬람교도에 의해 파괴됨.
  (날란다 도서관은 6개월이나 불탐)
  인도불교의 쇠퇴와 멸망, 이후에도 나란다나 붓다가야등에 미미하게 존속됨. 
  (인도대승불교의 전통이 8C 후로 티벳에 전해짐)
ㆍ인도불교의 쇠퇴 원인은 이슬람 세력의 침략, 불교의 힌두교화, 
  민중으로부터의 유리로 포교의 실패, 힌두교의 대중화 등을 듬.
ㆍ스리랑카의 불교문화가 태국으로 전파됨
중국
ㆍ1229, 무문혜개 <무문관>찬술
ㆍ1269, 대석지반 <불조통기> 지음
ㆍ1223, <종용록>을 조동종의 만송행수가 엮음. 선종의 2대 명저<벽암록>
ㆍ1270, 元 호국 인왕사(仁王寺) 건립. 티벳라마교를 보호, 수용함(황실,귀족)
ㆍ1291 이 당시 선정원(宣政院)의 기록에 따르면 사원 4만 2318곳,
        승니 21만 3천 148인이 있었다 함.
고려
ㆍ일연(1206-1289) <삼국유사><중편조동오위> 가지산문, 지눌의 법을 이음.
ㆍ원감충지(1226-1293) <대장경> 불사. 지눌의 선맥을 이음
ㆍ고려초조대장경과 속장경이 몽고 침입을 받아 소실됨(1232)
ㆍ팔만대장경(1236-1251) 1511부 6802권 81258판(해인사에 보관)
ㆍ원참, 정토종<현행서방경>(1289)
ㆍ미수(1240-1327), 법상종 <경론지해><심지관경기>
ㆍ천책(1206-?) 천태종, 교학중시, 삼교조화 강조
ㆍ보환(1220?-1290?) 능엄법회<수능음경환해산보기>
ㆍ천인(1205-1248) 천태종 백련사 2세 법주. 

일본
ㆍ도원(1200-1253) 송나라 천동여정의 조동종 계승 <정법안장>
ㆍ신란(1173-1262) 정토진종의 개조<교행신증>
ㆍ일련(1222-1282) 법화경을 중시. 일련종의 개조. 




【팔만대장경】
팔만대장경은 일본 신수대장경의 저본(底本)이었으며, 동국대학교에서 영인본이 나왔다.
세 차례에 걸친 대장경 조조는 고려사회의 재정질서를 위기에 몰아넣을 정도로 국가 대사업이었으므로 국민들의 부담이 막심했다. 그러나 인쇄술의 발달과 출판기술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고, 송ㆍ거란에 대한 문화국으로의 위신을 높였다.


A.D.1200~ 세계사



1202
아라비아 숫자 유럽에 전래
1205
이슬람교도 북인도 지배
1206
1206-1290, 델리에 무실림 지배의 노예왕조가 수립
1206
징기스칸 몽고 통일 (유목적 봉건제도)
1231
1231-1232 꾸탑 미나르가 건조됨.
1241
몽고족이 라호르를 장악 


1260
중국 원나라(1260-1368). 몽고족, 정복왕조
1270
고려 삼별초의 난(1270-1273). 몽고에 반대하여 무인이 일으킴


1288
마르코폴로가 인도 최남단의 까얄항에 도착
1299
마르코폴로 <동방견문록> 씀.




【날란다 승원에서 배출한 승려】-목건련과 사리불의 고향
나가르쥬나(용수, 2C), 아리야데바(제바, 3C), 
아상가(무착, 4C), 산타락시타(적호, 8C), 파드마삼바바(연화생, 8C), 
시라발타라(계현, 6-7C) 등


A.D.1300~ 불교사



고려
*고려 말 간화선의 수입*
중국 석옥청공 → 고려 태고보우, 백운경한
     평산처림 →      나옹혜근 

ㆍ태고보우(1301-1376) 원나라 석옥청공의 법을 이음.(간화선)
  조주 무자 화두 중시, 공적영지의 선사상 강조.<태고록>
ㆍ나옹혜근(1320-1376) 원의 평산처림의 법을 이음. 간화선, 염불 중시. 
  인도승려 지공에게도 수학. 어록집 <나옹록>
ㆍ백운경한(1299-1375) 원의 청공의 법을 이음. 무심선(無心禪) 강조.
  <불조직지심체요절> 선의 정수를 정선, 편집.
ㆍ무학자초(1327-1405) 혜근의 선법을 계승. 조선 태조의 스승

중국
ㆍ1341, 염상(念常) <불조역대통재> 저술.
ㆍ1354, 각안(覺岸) <석씨계고략> 저술 

인도
ㆍ지공(?-1368) 제남박타, 가섭존자로부터 108대 조사. 
  중국을 거쳐서 고려에 와 금강산 도량에 참배. 나옹의 스승 







【고려 말의 십일종】
조계종(曹溪宗), 총지종(摠持宗), 천태법사종(天台法師宗), 천태소자종(天台疏字宗), 
도문종(道門宗), 자은종(慈恩宗), 중도종(中道宗), 신인종(神印宗), 남산종(南山宗),
시흥종(始興宗), 오교(화엄, 자은, 중신, 총지, 시흥) 양종(천태, 조계)


【고려말과 조선초기의 4대종파】
화엄종(원융종)
유가종(자은종) - 소현(고려 초), 해원(고려 말)
천태종(선종)
조계종(선종) - 환암, 무학, 각운, 함허


*고려 말 불교의 상황은 몽고 간섭기의 사회모순 격화와 귀족 불교로의 변질, 
 승려의 경제적 부 축적으로 세속화, 유교 신흥사대부의 비판 받음.
*총지종은 밀교 종파. 총남종(摠南宗)은 총지종과 남산종을 통합한 파.
*도문종은 화엄종의 일파. 남산종(南山宗, 계율종), 시흥종(열반종)

A.D.1300~ 세계사



14C
이탈리아, 르네상스 운동 전개
1318
단테, <신곡> (~1321)
1336
1336~1565년 경 남부에 힌두 지배의 비자야 나가르 왕조 수립
1363
고려, 문익점 원에서 목화씨 가져옴 
1368
중국 명나라(1368-1644) <사서대전> 편집, <영락대전>
1342
조선 정도전(1342-1398), <불씨잡변>-척불론의 기초, <삼봉집>
여말 배불론자의 주동자로 불교의 말살을 기도 하고, 
유교로 문교 통일하고자 함. 주자학으로 佛老 공격.
태종(1401-1418)이 배불정책 단행.(사찰의 제한, 종파의 축소)
1398
티무르가 인도 침입하여 델리 유린
1377
고려, <직지심경> 인쇄
1380
위클리프, 성서 영역. 
1392
조선 개국(1392-1910)



【고려-조선의 선종맥 계보】

 1.





 2. 








 3. 

용성
함월
호암체정
임제
태고보우
백운경한
평산처림
석옥청공
급암종신
대혜종고
구곡각운
찬영
환암
나옹혜근
함허
무학
벽송
벽계
부휴선수
청허휴정
환성지안
사면
편양
소요
부용
동산
효봉
설파
청봉
성철
연담유일
경허성우
혜월ㆍ만공ㆍ한암ㆍ수월
설봉
백파긍선
청담순호
백련
양악
초의
만암
서옹상순
벽산상눌(금타)


A.D.1400~ 불교사



조선
ㆍ함허득통(1368-1433) <현정론> 기화, 유불이치 주장.
ㆍ김시습(설잠) <십현담요해> 나옹의 선맥 이음
ㆍ1424, 선교양종으로 통합. 세종 때 정비
  교종은-화엄(원융), 자은(유가), 중신(중도+신인), 시흥종(열반) 4종파
  선종은-천태, 조계, 총남종 
  승과제도: 선종-<전등록><송><선문염송> 시험
           교종-<화엄경> 십지론에 의하여 대선(大選)을 뽑음(30명)
               대선에서 중덕(中德), 대덕(大德), 대사(大師)의 순서로 승진함. 
               판사(判事)가 되는 자를 제대사(諸大師)라고 함.
  선조 때 청허휴정(서산대사)이 교로부터 선으로 나가 혼자서 
  양종판사를 지냈으며, <산가귀감>을 지어서 불교계를 풍미함에 이르러
  양종의 구별이 없어졌다. 
ㆍ<간경도감> 설치, 불경 간행. (세종, 세조 때)
  세종, 세조, 신미가 번역 <선종영가집언해>
  (선종영가집을 한글로 번역한 책. 1456, 1482, 1520 중간함.)
  
전등, 천태종의 중흥조. 정토사상 선양. <정토생무생론><천태전불심인기주>
<성선악론>

티벳
쫑카파(1357-1419) <보리도차제론(1401)>(현교론)(람림,대본,중본,송)
<밀종도차제론>(밀교론)
 : 실천중시, 현재중시의 수행강조. 간덴사원 건립. 
   티벳불교의 중흥조로 추앙. 제 1대 달라이라마로, 당시 여러 종파를
   섭렵하고 통합함. (원측의 해심밀경소의 영향 받음) 


A.D.1400~ 세계사



조선
태종, 도첩제 폐지


1440
1440-1518, 까비르가 종교개혁 운동을 전개(인도 시크교).
1450
1450-1526, 로디 왕조가 일어나 무슬림 왕조 부흥
1469
1469-1538, 그루 나나크가 시크교 창시


중국
왕양명(1472-1529), 양명학-심즉리(心卽理), 치양지(致良知), 지행합일.
(왕양명의 제자 서애가 쓴 전습록傳習錄 있음.)
1408
명, <영락대전> 완성
1446
조선, 훈민정음 반포
1450
구텐베르크 활판 인쇄술 발명.
1469
조선 <경국대전> 완성


조선
조광조(1482-1519) 주리론, 도학을 일으킴. 현량과제도
서경덕(1489-1546) 도학군자. <화담집>, 주기론





【유ㆍ불ㆍ선 삼교회통을 주장한 승려와 도인】
함허(15C), 설잠(김시습), 서산, 탄허(20C), 정염(16C), 천책(13C), 공해(일본 <三敎旨貴>, 8-9C), 남회근(20C), 청허(16C), 윤건인(중국 명, <性命圭旨>, 15-16C), 감산 덕청(16C), 인광(19C) 등


A.D.1500~ 불교사



중국 명
4대 고승 (화두를 염불로-염불선)
ㆍ운서주굉(1535-1615), 정토종 8대조사, 화엄종의 명승
                       화엄과 선, 정토를 병합함. <선관책진>
ㆍ감산덕청(1546-1623), 종합사상으로 선ㆍ정토 쌍수 주장. 3교 융합. 
                   좌선염불에 관심 기울임. <몽유집><법화통의><조계통지>
                   <관능가경기><화엄겨강요><대승기신론소략> 등 저술
ㆍ자백진가
ㆍ우익지욱(1599-1655), 천태종, 유식론 강설. <범망경합주><수능엄경현의>
                       <열장지진>


조선
ㆍ청허휴정(서산, ~1604), <선가귀감><삼가귀감>
ㆍ사명유정(~1610), <분충서난록><사명당대사집>
ㆍ진묵일옥(~1633), “신승”, <진묵유적> 초의가 편찬.
ㆍ부휴선수(~1615), <부휴당집>
ㆍ소요태능(~1649), <소요당집>

1511, 영명연수선사의 <유심결>을 조선 중종ㆍ광해군 때에 초, 재판 간행.
1566, 선교 양종의 승려 과거제 폐지


A.D.1500~ 세계사



1510
포르투갈이 고아 정복
1526
바부르가 무갈 왕조 창건


1543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1569
메르카토르 세계지도 완성


조선
ㆍ정염(?-1549) 북창, 박학한 신인, <동원진주낭><용호비결>
ㆍ이황(1501-1570), 주자학, 주리론, <성학십도>
ㆍ이이(1536-1584), 성리학, 이기일원론, <성학집요>
ㆍ조식(1501-1572), 성리학, 유교를 근본으로 불ㆍ노 수용

조선 양명학은 선조 때 전습록이 들어와 전해짐. 


A.D.1600~ 불교사



조선
ㆍ편양언기(~1644), <편양당집>, 보살행, 편양파의 개조.
ㆍ벽암(~1660) 병자호란에 ‘항마군’ 조직하여 참가.
ㆍ백곡처능(~1680), <간폐석교소>를 현종에게 상소, 배불을 논파.
ㆍ풍담의심(~1665), 교학의 중흥조, 화엄학

일본
ㆍ일연, 일현종의 승려, 임해군의 아들로 임란때 잡혀감


명-청
(명:~1644, 청:~1912)
ㆍ지욱(智旭, 1599-1655) 선ㆍ교ㆍ율을 종합하여 정토로 회귀.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진여염불 중시하는 선정합일

ㆍ1617, 如惶, <대명고승전> 지음


A.D.1600~ 세계사



1600
영국 동인도회사 설립
1603
셰익스피어 <햄릿> 출간
1605
마테오리치와 서광계, <기하원본> 한역
1610
조선 허준, <동의보감> 완성


1636
하버드대학 창설
1637
데카르트 <방법서설> 출판



뉴턴(1643-1727), ‘운동역학’, 절대시간ㆍ절대공간을 실체로 봄. 
     수학의 눈으로 우주 만물을 설명함. F=ma(힘=질량×가속도), 
     만유인력의 법칙


1644
중국 청(1644-1912)
1653
타지마할 완공(인도)
1664
프랑스 동인도회사 활동 시작 


A.D.1700~ 불교사



조선
ㆍ연담유일(~1799), <제경회요><임하록>
ㆍ묵암최눌(1717-1790), 화엄종장, <묵암집>
ㆍ개운대성(1730-?), <정본수능엄경합편>(1780)
ㆍ조귀명(1693-1737), “心 주재적인 사유”

ㆍ팽제청(1740-1796), 척목, 이림거사, 정토종 중시, 거사불교 운동.

1796, 백련교의 난(송ㆍ원ㆍ명대에 걸쳐 각지에서 성행한 신흥종교)
      불교를 위장한 사교(邪敎), 청대에 가장 크게 일어남

인도
영제국의 관리들이 아쇼카 석주 발견.
1750년 아쇼카 비문 조각 발견


A.D.1700~ 세계사



1744
1744-1748, 인도에서 첫 영불전쟁 일어남
1762
루소 <사회계약론>
1765
와트, 증기기관 발명


중국 청
1773-1782, <사고전서(四庫全書)> 편집. 
             내ㆍ외의 양서를 經, 史, 子(사상, 기술), 集(문학)으로 집대성


조선
ㆍ정약용(1762-1836), 실학 집대성 <경세유표><목민심서>
ㆍ김정희(1786-1856), 추사, 다방면에서 실학 구현 <완당집>

1776, 규장각 설립


1770
베토벤(1770-1827), <운명><합창>교향굑 작곡 
1780
칸트(1724-1804), <순수이성비판>, 주체적 정신 능력을 사유
1789
프랑스혁명
1770
헤겔(1770-1831), (독일)관념론, “절대정신”, 정신철학. 


A.D.1800~ 불교사



조선
ㆍ백파긍선(~1852), <선문수경>
ㆍ초의의순(~1866), <선문사변만어>


인도
영국인 장교 알렉산더 커닝햄(1814-1893), 사르나트(녹야원) 등 유적지 발굴.
사리불과 목건련의 유적 발견(1837-1885)


양인산(1837-1911), <대승기신론> 영역, <불교초학과본><인학>저술.
                    (화엄과 유식의 영향). 불교학의 초석 역할.
허운(1840-1959), 선정융합, 염불선 주창, 선문의 조사 <능엄경현요>
                  <원각경현의><심경해><법화경약소>,허운화상법휘>
태허(1889-1947), 양인산이 설립한 기원정사에 입학. 불교개혁과 근대화에 
                  앞장섬. <정리승가제도론>저술.
인광(1861-1940), 정토종 제 13대 조사. 아미타불의 가피력 중시


1887
아쇼카 비명을 책으로 출판
1879
에드윈 아놀드 <동방의 빛> 저술하여 붓다를 서구에 알림. 대서사시 <The Light of Asia>
1891
인도불교의 시작, 스리랑카 승려 다르마빨라가 ‘마하보디협회’를 설립하고 불교잡지 ‘마하보디’의 첫 호를 출간.
19C 말
영국에서 빠알리장경 번역(1881 팔리어경전학회 설립)
미국에서 한 때 불교 유행 (약 20년 정도)





A.D.1800~ 세계사



1804
나폴레옹 황제 즉위
1807 
폴턴, 증기선 발명(미국)
1822
프랑스 이집트학자 샹폴리옹, 이집트 문자해독에 성공
1830
영국 철도 개설


조선
최한기(1803-1879), 혜강, <지구전요:신기통,강관론>, 주기론


1842
독일, 마이어가 에너지불멸의 법칙 주장
1818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나의 본질은 살려는 의지’
불교의 영향을 받음.
1840
아편전쟁 (영국과 청의 무역) 주자학ㆍ농업기술이 합리적 이성과 과학기술에 패배
1844
독일 니체(1844-1900), 남방불교를 공부, 무신론적 실존주의 
초인, 권력의지, 영겁회귀, ‘신(관념)은 죽었다’
1858
영국 정부가 직접 인도 지배 시작
1859
영국 다윈 <종의 기원> 출간
1875
신지학회 창설 (Theosophical Society) 신비주의
1861
조선 김정호 대동여지도 제작
1869
미국 대륙 횡단 철도 개통
1893
세계 종교회의 개최(시카고) 기독교 주축, 신지학회의 지원
1876
미국 벨 전화기 발명 



ㆍ아인슈타인(1879-1955), ‘상대성 원리’ 
시간ㆍ공간은 절대적이지 않으며 서로 무관하지 않다. 이들은 관측자의 운동상태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보일 수 있으며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시간ㆍ공간은 한 객체의 부분적 특성에 불과하며, 우주의 진화과정은 시간과 공간의 비틀림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ㆍ토인비(1889-1975), 영국 <역사의 연구>, 새로운 세계사학의 수립을 시도, 문명의 추진력을 고차문명의 저차문명에 대한 도전과 응전의 상호작용에 있다고 봄. 


A.D.1900~ 불교사


1904
독일인이 미얀마에서 비구계 수지(냐나틸로카)
1900,
1907
돈황 막고굴 발견과 문헌들이 서유럽에 전파
1935
인도 불가촉천민 암베드까르의 종교 전향 선언
그의 추종자 백만이 넘는 사람들과 불교로 귀의함(1956)
1951
인도, 나브 날란다 승원 세움


1921
선학원 설립, “조선불교 확립을 목적으로 일제에 대한 독립 표방”
20C 한국에서 간화선이 크게 일어남. 
ㆍ경허(~1912) 근대 선불교 중흥 <선문촬요>편집.
ㆍ용성(~1940) <선문요지><각해일륜><교리대전>.
ㆍ전강(~1975) “선가의 대종장”.
ㆍ성철(~1993) <백일법문>
ㆍ벽산금타(~1948) <금강심론>
ㆍ효봉학눌(~1966) <효봉어록>
ㆍ탄허(1913-1983) <신화엄경합론> 3교 회통

ㆍ백성욱(~1981) 금강삼매경론 강의, 미륵불 신앙.
                 백성욱-김재웅, 금강경 독송회 발족(1973).
ㆍ박한영(~1948) 화엄종주, <석전시초><석림초>
ㆍ백봉거사(1907-1985) <유마경대강론> ‘한국의 유마거사.

ㆍ상월원각(1911-1974) 한국 천태종 중흥조. 관음신앙 중심. 
1916
원불교 소태산 박중빈(1916 개창) “일원상(一圓相)의 진리” 반야사상 중심.
1947
봉암결사(1947-1950) 성철스님 주도, 선종의 종풍을 세움.
1973
송광사 불일국제선원 개원. 구산스님이 외국스님에게 조사선 지도



ㆍ1988, 성철스님의 돈황본 유조단경 편역.
      (1970년대에 정본수능엄경 간행(윤양성))
ㆍ<선림고경총서>에서 중국과 조선의 선어록을 한글 번역(1988).
ㆍ승려와 거사들이 남방불교권으로 유학(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등).
ㆍ20C 중반 이후로 일본 불교학 수학
ㆍ남방상좌부 불교 들어옴

ㆍ1980년대 청화스님께서 <금강심론>을 근본으로 염불선 주창. 
  *염불선 계보 : 용수 …… 금타(보리방편문) …… 무주청화 
ㆍ무차선회 개최(1998 백양사 서옹스님, 2002 해운정사 진제스님)

ㆍ이기영(1922-1997) 불교학자. 원효사상 연구, 금강삼매경론 강의.
ㆍ한국불교전서 간행(동국역경원 1989)
일본
1940년대 <남전대장경> 번역. 불교학의 발전. 생활불교. 
          <북전 신수대장경> 번역. 


미얀마
제 6차 결집(1954-1956). 빠알리 대장경 총결집. 
티베트
티베트 불교의 변화 (중국침략 1950년대 말). 제 14대 달라이라마가 인도로 망명, 유럽ㆍ미국에서 불법을 전함.



동양의 불교가 유럽과 미국으로 크게 영향 줌(1960년대 이후로 다시 유행)
→참여불교 등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 

20C 말에 남방불교 수행도량이 세계 각지에 세워짐. 



【현대의 위대한 네 스승들】
틱낫한(베트남), 숭산(한국), 마하고사난다(캄보디아), 달라이라마 텐진가초(티벳)





【용성선맥계보】
   
   
고암상언
용성
동헌완규
동산혜일
불심도문
법륜(정토회)
퇴옹성철
법전(해인사)
광덕(대각사)
근일(부석사)







【경허선맥계보】
   
    
수월
경허
혜월
한암
운봉
향곡
탄허
무비
혜암
만공
진제(부산 해운정사)
보월
전강
고봉
금오
송담(인천 용화사)
숭산(서울 화계사)
월산(불국사)
원담(수덕사)


    
효봉
구산수련(송광사)
법정



A.D.1900~ 세계사



1959
티베트의 달라이라마가 인도에 망명정부를 수립(다람살라)


태국
아짠문(1870-1950), “20C의 아라한”
미얀마
마하시사야도, “20C의 사리붓다”, 지혜명상 강조


독일
하이데거(1889-1976) <존재와 시간><휴머니즘에 대하여>
“20세기 최고의 철학자”(동양철학의 영향을 받음), ‘존재와 고유성’



1930년대 이후로 양자역학 발전
 ‘어떤 특별한 환경에서는 공간을 초월한 양자적 연결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진공에서 에너지가 나와서 입자, 반입자가 된다’



1970년대 이후로 초끈이론이 발전 “만물의 기본단위는 끈이다”
 ‘우리의 눈에 보이는 세계는 진정한 실체가 아니라 실체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이 우주는 10차원의 공간과 1차원의 시간이 결합된 11차원의 시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M-이론)
 ‘우주는 종말과 재생을 반복한다’  


A.D.2000~



ㆍ무주청화(1923-2003), <원통불법의 요체><돈황본 육조단경 역주><종토삼부경 편역>
ㆍ날란다본 <초전법륜경>번역.
ㆍ초기불전연구원에서 빠알리경전 번역 시작. <디가니까야(2006)><청정도론(2005, 대림스님)><앙굿따라니까야(각묵스님)>
ㆍ쫑카파대사의 <대보리도차제론>한글 번역(청전, 2005, 깨달음에 이르는 길), <입보리행론(적천)>번역 청전.
ㆍ<이장의> 원효의 저술을 번역 (은정희 2004)
ㆍ<구사론> 아비달마 구사론-세친의 저술을 번역(권오민 2002).
ㆍ한국빠알리성전협회에서 빠알리 대장경을 번역하고 있음 (전재성).
  <맛지마니까야(2003)><쌍윳다니까야(2007)><앙굿따라니까야(2008)>
ㆍ벽암록 완역(석지현 2007).

*현재(2008) 남방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티벳불교 혹은-다르게 표현하여- 교(敎), 선(禪), 현(顯), 밀교(密敎), 소ㆍ대승, 그리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변용된 다양한 불교가 있다. 

“불교와 서양의 만남은 20C 가장 의미심장한 사건이다” -토인비-
“불교는 현대과학과 양립 가능한 유일한 종교이다” -아인슈타인-

*불교의 특징 : 정신과학, 영적 삶 추구, 합리적 개방적 이성, 관용적, 보편적 책임, 무신론, 의식 강조, 환경 문제, 실질적, 진보적, 개인의 자유, 공동의 평화, 현대적.
(단점 : 허무 염세적, 무욕적, 난해함, 실천하기 어려움, 현실과 이상의 괴리, 현실 도피적)



【20세기 자연과학】
 현대 과학과 우주론에서 우주 전체를 구성하는 것들로써(성분목록) 암흑 에너지를 약 70%로 보고, 암흑물질을 25%로, 양성자와 중성자에서부터 별 우주에 이르는 가시적 물질이 5% 정도로 밝혀짐. 그리고 우주의 공간은 평평한 것으로 추정함. 우주의 나이는 약 137억년이고 전 우주의 평균 온도는 –270℃이며, 장소에 따라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전체 분포는 균일하게 나타남. 우주가 초기에 급속한 팽창을 겪었다는 인플레이션 우주론이 유력한 이론이다. 그리고 주기적 우주론은 장구한 세월 동안 서로 다른 두 막이 충돌해서 재생과 종말을 반복한다는 가설이 있다. 


【20세기 동양의 불교를 서양에 전한 인물】
티벳
ㆍ제 14대 달라이라마(1935~), 초종교 주의
ㆍ예세라마, 조파라마, 겔룩파 불교를 유럽에 전함.
ㆍ최감 트룽파(1939-1987), 카규파 제 11대 활불. 영ㆍ미
ㆍ칼루 린포체(1905-1989) 카규파. 유럽, “20C밀라레파” 
한국
ㆍ김재웅(1940~) 금강경 독송회, 미국.
ㆍ청화(1923-2003), 염불선, 92-98 미국포교.
ㆍ구산(1909~1983), 조사선, 불일국제선원. 
ㆍ서경보(1914~), 임제종, 유럽, 미국. 
ㆍ숭산(1927-2004), 조계종 간화선.
ㆍ삼우(1941~), 북미 종교회의 주관

일본
ㆍ스즈키 다이세츠, 1930-1960년대까지 구미의 지식인들에게 전파, 선불교.
ㆍ스즈키 순류(1904-1971), 조동종, 미국.
ㆍ데시마루 다이센(1914-1982), 조동종, 유럽.
ㆍ이케다 다이사쿠(1928~), SG1국제 창가학회, 일련종.

베트남
ㆍ틱낫한(1926~) 임제종, 프랑스.

영국
ㆍ아잔 수메도(1943~) 남방 상좌부 불교.
ㆍ텐진 팔모(1943~) 티벳불교.
ㆍ스티븐 배철리, 조계종 간화선.
ㆍ지유케넷(1924~1996), 상좌부 불교.
ㆍ상가락시타(1925~) 서구 불교종 설립, 남방 상좌부 불교.

독일
ㆍ아야케마(1923~1999), 상좌부 불교.
ㆍ라쌀레 신부(1898~1990), 크리스천 禪을 이끈 조동종 선사.
ㆍ폴 카루스(1852~1919), 미국의 유마거사.

미국
ㆍ리처드 베이커(1936~) 스즈키 순류의 제자, 조동종.
ㆍ로버트 아잇켄(1917~) 재가불교, 실천불교, 한국학 연구소.
ㆍ잭 콘필드(1945~) 미국 위빠사나 명상회.

덴마크
ㆍ올레 니달(1941~) 금강승 불교 설립.

기타
ㆍ비디야 단다론(1914-1974) 러시아 불교. 

No comments:

Post a Comment